운전을 하시면서 한 번쯤은 ABS 브레이크 하는 걸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겁니다 약자로 Anti Lock Broking System이며 장착 목적은 급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타이어의 잠김을 방지해 운전자가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을 위한 전자 제어 시스템입니다(약간 어렵죠?)
제일 간단하게 얘기한다면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입니다 ABS 브레이크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은 급브레이크시 타이어 바퀴가 잠김 상태로 되어버립니다 그러다 보니 핸들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게 돼버리고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ABS가 있다면 핸들을 운전자가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으니 조금 더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습니다
각 타이어 쪽에 센서들이 하나씩 들어가며 엔진룸에 ABS모듈이 장착이 됩니다 실제로 운전자가 급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ABS는 각 타이어의 브레이크를 잠갔다 풀었다를 반복하면서 운전자가 조향을 할 수 있게 해 줍니다(1초에 20회 정도 반복으로 빠르게 움직임) 또한 이런 작동들은 4개의 타이어가 똑같이 일어나는 게 아니라 ABS모듈에 의해 개별적으로 일어납니다
ABS는 따로 차량에 버튼이 있는 게 아닙니다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며 운전자는 페달 아래에서 올라오는 진동과 계기판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는 걸로 운전자는 작동을 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ABS는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는 보조 장치입니다 앞 차량에 가까이 붙어서 운전해도 안전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제동거리를 줄이는데 분명히 도움은 되지만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ABS는 미흡합니다
눈길에서의 ABS의 효과는 없다고 생각하는 게 맞습니다 일부 분들은 본인들 차량이 ABS도 달려있고 브레이크 튜닝도 되어있으니 눈길에서 잘 멈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착각입니다 차량의 움직이는 속도와 무게로 인해 어떠한 차량도 미끄러지게 되어 있습니다 눈길에서는 더욱더 서행하며 체인을 장착하고 운행하시는 게 맞습니다
내 차에 ABS가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운전석에서 2단 키만 넣어 보시면 됩니다 계기판에 점등되는 등 중에 ABS라고 쓰여 있으면 장착이 되어 있는 게 맞습니다(버튼시동 차량은 브레이크 밟지 말고 시동 버튼만 두 번 눌러보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대 차량 기준으로 14년 이후로 출고된 차량에는 전부 ABS가 장착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ABS 고장 증상은 계기 판상에서 계속 ABS 등이 점등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은 ABS모듈이 이상하거나 센서 이상 일수 있습니다 정비소로 가서 스캐너 장비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겨울철과 우천 시 에는 ABS 등이 자주 점등이 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자동차 기술이 발전되어 운전하기 편리해집니다 하지만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해야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자율주행도 마찬가지)급정지는 브레이크 패드 마모가 빨라지게 됩니다 결론적으로는 자동차에 돈이 많이 들어가게 되겠죠 서행, 안전운전이 제일 좋은 거라 생각합니다
배려하는 마음으로 안전 운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