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자동차 관리

가솔린(휘발류),디젤(경유)의 차이점

by 난 가장이다 2021. 12. 26.
반응형

자동차를 운전하고 사용하지만 대부분 연료는 관심 밖의 일입니다 '내 차가 휘발유가 들어가니 휘발유를 넣는거지' 라고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약간이라도 아셔야 급할 때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휘발유, 경유에 대해서 깊게는 저도 싫고 기본만 알아볼게요

 

원유를 정제하게 되면 여러 가지 부산물들이 생각보다 많이, 다양하게 생겨 납니다 가솔린(휘발유) 디젤(경유), LPG가스, 등유, 윤활제, 아스팔트 등등 우리 생활에 필요한 것들입니다 여기서 가솔린과 디젤만 볼게요 원유에서 나온 거지만 이 두 가지는 성질이 다릅니다 

 

가솔린은 영하 43도 에도 불꽃만 있으면 불이 붙게 되지만 자연발화에서는 500~550도 이상에서 스스로 불이 붙게 됩니다 그러니까 가솔린은 불꽃에 잘 반응하기 때문에 엔진 내부에 점화플러그를 장착시켜 엔진을 움직이게 하는 겁니다

 

디젤은 인화성이 낮아 영상 40~50 이상 온도에서만 불이 붙죠 불꽃을 일으켜도 불이 잘 붙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연 발화점은 휘발유에 비해 낮아서 디젤엔진은 점화플러그를 사용하지 않고 고온, 고압 상태에서 연료를 뿌려 자연발화를 시켜 엔진을 움직입니다

 

흡입된 공기와 연료를 압축시키는 비율도 다른데요 가솔린은 8:1~10:1 이 평균적이고 디젤은 14:1~25:1로 고압축이 되면서 공기의 온도가 상승, 발화가 진행됩니다 이런 차이에 있어서 가솔린은 엔진이 정숙하고 디젤은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겠지요 또한 가솔린은 압축비가 적고 점화플러그로 빠르게 점화를 하다 보니 고속주행의 장점이 생깁니다 하지만 빠르게 점화를 하다 보니 연비가 적어진다는 단점도 있지요

 

정리하자면 가솔린은 엔진이 조용한 대신 기름값이 많이 들어간다 디젤은 엔진 소음이 크다 대신 기름값이 덜 들어간다 이해하시겠죠?

배려하는 마음으로 안전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